반응형

할머니는 죽지 않는다 표지

 

 

할머니는 죽지 않는다. 

작가 #공지영 #독서

소개

요즘 나는 공지영 작가님의 책들에 꽂혀있다. 실은 지난 달, 아니, 5월부터이니 두 달 전부터 도장깨기 하듯 그녀의 책을 한 권 한 권씩 읽고 있다. 출간도서 순서를 찾아서 말이다. 꽂히게 된 경로와 그간 읽었던 책들이 너무 좋아서 출간작 목록순대로 간단히 다루고 싶은 원이 있었는데 그것은 언젠가로 조금 후로 미루기로 하고, 우선은 완독한 <할머니는 죽지 않는다>부터 다루기로 한다. 

 

◆ 초판 1쇄: 2017년 4월 3일

◆ 지은이: 공지영

◆ 펴낸곳 : 해냄 (출판사)


수집문구

📍p166-167

“언제부터인가 나는 우는 것이 하찮은 일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기에, 가슴을 좀 웅크리고 편한 자세를 취해보았는데, 그때 문장들이, 장대비처럼 내게 내렸다.”

 

📍p198

“아니 희망을 버린 것이 아니라 운명이 내 마음대로 내가 원래 계획했던 대로 돼야 한다는 집착을 버린 거죠……그래서 살 수 있었어요.

 그리고 잠시 후 그는 물끄러미 나를 바라보더니 너무나도 선량한 얼굴로, 그러나 서글픈 얼굴로 씨익 웃었다.”

 

– 반응: 내가 이 책에서 문장 한 가지만 남길 수 있다면, 바로 이 문구일 것이다. 정말 삶의 핵심이라고 생각했다.

   “내 마음대로 내가 원래 계획했던 대로 돼야 한다는 집착을 버린”다.

   대다수 많은 이들이, 사회가 내게 말하는, 해서 내가 생각하게된 어떤 ‘이상’처럼 되어야만 한다는 그 집착을 버린다면 마음의 많은 짐과 삶의 많은 무게를 덜 수 있을 것이며 이 삶을 평화롭게 살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일 것이다. 말처럼 쉽지는 않은 그러나 지혜가 담긴 말이다. 

 

📍p195

“친구는 아직도 내가 조금만 노력을 한다면 자신의 왕국의 입장권을 사서 그 시민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지도 몰랐다.”

– 반응: 이것이 무슨 느낌인줄 알아서 흥미롭고 놀라웠고 어쩌면 공감되어 살짝은 시원하기도 했다. 내 앞의 사람과 내가 마치 다른 왕국에 있는 듯한 느낌… 그것은 사실은 비교에서 온다. 이제는 타인과의 ‘비교’라는 것은 나에게 이로운 것은 아니라는 것까지는 머리로 안다. 타인과의 비교는 끝이 없고 그 굴레에 사로잡히면 영원히 행복할 수 없다. 나는 나 자신을 

어제의 나와, 과거의 나와 비교하면 되는 것임을 머리로는 안다. 현재는 그 단계에 왔다.

 

📍p219

“이른 새벽 잠에서 깨어납니다. 가끔은 빗소리에 깨고, 또 가끔은 달빛에 깨고, 슬픈 꿈으로 깨고, 대개는 술기운에 깨어납니다. 간밤에 꾸었던 꿈속에 어지러운 사람들의 발자취가 묻어 있습니다. 한때는 기어이 기억하려고, 또 한때는 지워버리려고 애썼으나 이제는 그냥 놓아둡니다. 흘러가게 말입니다.”

– 반응: 감정은 흘러가는 것이다. 그 감정이 영원히 가지는 않는다. 그 순간에는 감정이란게 아주 강렬하여 그것이 영원할 수도 있다는, 영원하면 어떡하지, 라는 찰나의 생각에 본능적으로 기울이고 사로잡히게 되지만.

 

📍p205-206

“내 인생은 난파했고, 나는 이곳이 어디인지 도무지 알 수 없었다. 내 온몸은 상처들로 가득했다. 나는 먼 훗날 있을 싸움을 유리하게 이끌기 위해 병원에 가서 때어두었던 진단서들을 다 찾아 찢어버렸다.”

 

📍p214-215

“. . .죽고 싶었지만 신기하게도 진짜로 죽으려는 생각은 하지 않았어요. 이상하게 운명에 대한 대결 같은 거. 그것은 맞서는 대결이 아니라 한번 껴안아보려는 그런 대결이었는데, 말하자면 풍랑을 당한 배가 그 풍랑을 이기고 가는 유일한 방법은 그 풍랑을 타고 넘어가는 것 같은 그런 종류의 대결……내게 이것을 가르쳐준 것은 글이었는데 글은 모든 사람의 가슴에서 넘치다가 엎질러져 나오는 것이고 그렇게 엎질러져 나온 글들은 상처처럼 빨간 속살에서 터져나온 석류 알처럼 우리를 기르고 구원하니까요, 했더라구”

(작가는 이 말을 했던 것이 겨우 삼 년 전 일이며, ‘적어도 (글이라는게) 자신에게는 그랬고, 그렇게 되고 있고, 앞으로도 그럴 거라는… 적어도 자신에게는 그래야 하지 않을까요’라고

했다.)

– 반응: 책 안의 등장인물은 이 말을 들으면서 ‘탄성’이 나왔는데, 나에게서도 그랬다. 그 후에 이어 나왔던 글도 내게는 뜻깊었기에 사진을 붙인다.

작가가 작문이라는 것을 대하는 자세가 인상깊었던 것이다. 공지영 작가도, 한강 작가도, 글이라는 것은 ‘고통’이라는 감정이 찾아왔을 때 쓰면서 도움이 되기도 하는 것이다. 상담선생님과 대화를 나누면서 어느 날, 나 역시도 작가들의 조언들을 따라 얼마전부터 하루 일정 분량 이상씩 작문을 하는 연습을 하고 있다고 했고 그것이 도움이 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선생님은 작문이라는 것은 감정이 해소되는 작용을 한다고 하셨다. 


 

추가 수집 문구

 

나에게 도움되며 뜻깊었던 추가 수집 문장들을 좀 더 자세히 아래 추가로 붙인다. SNS에는 짧게 요약했지만, 블로그에서는 이 문구들을 자세히 담아내고 기록해두고 싶다. 도서로 읽고 싶은 분이 계시다면, 최상단의 도서명과 출판사명, 발행 년도 등을 참고하기 바란다.

글이 "장대비처럼" 내릴 때도 있다.

-

-

<할머니는 죽지 않는다> 內 수록작 목록 p243

— <월춘 장구> : <<작가세계>>. 2006년 여름호

— <할머니는 죽지 않는다> : <<문학사상>>, 2001년 8월호

— <우리는 누구이며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 올해의 문제소설. 200년: 2001년 제7회 21세기문학상 수상작

— <부활 무렵> :  <<창작과비평>>. 2001년 여름호: 2002년 제 27회 한국소설문학상 수상작.

— <맨발로 글목을 돌다>  (2011년 제35회 이상문학상 대상 수상작) 

 


2025년 7월의 책과 글쓰기.

그렇게 나와 세상에 용기를. 

.

.

.

SNS채널 책 리뷰 인스타그램 북스타 Nemo | 할머니는 죽지 않는다

불안과 용기 글과 그림 인스타그램 | Baebulli | 삶엔 직장과 직업말고도 많은 것이 있어

 

 

반응형
반응형

 

서평요약

 

내게 답을 주는 사회에 산다면 어떨까?
내가 선택을 하지 않아도 되는, 인생의 중요한 결정들에 대해 어떠한 것이 정답일지 지나치게 고민을 안해도 되는 사회 말이다. 그것이 내게 이 책의 시사점이었다. 특히 대학졸업 이후 혹은 사회인이 된 이후 많은 어른들은 직업적으로 혹은 삶의 방식적으로 '정작 이 길이 나의 길인가? 내게 괜찮은 길은 무엇일까?' 끝없이 고뇌하기 때문이다 (나 역시 그러하다).

 

**AI로 작성되지 않은 본인의 글입니다.**

AI를 많이 사용하니 바보가 되는 기분이 들어 뇌 사용을 위해 일부러 스스로 써 본 글이다.

한글 도서명은 <기억전달자>이다. 영문 원서명은 <The Giver>.

서론

 

중고등학교 때 이 책이 유행하고 있다는 것을 친구를 통해 알게되었다. 그 때 친구는 부모님께서 둘 다 직장을 나가셔서 매일 스스로 보내야 하는 시간이 어느 정도 있었는데 그 시간을 독서를 하며 보내기를 즐겨하는 사람이었고 그 때쯔음 친구는 이 책을 읽었다고 했다. 시간이 지나 우연히 도서관 영문코너에서 다시 접했다. 이번에는 원서로. 아주 가볍고 포켓북 같았다. 나는 사실 요즘 자기계발 영상들에서 세상에 '기버(어떤 것을 기여하고 주는 사람)'마인드로 살아가는 것이 성공할 확률에 좋다기에 어떤 것을 세상에 기여할 수 있을까 고민하던 중이었고 그런 의미에서의 '기버'일 수 있겠다며 제목의 단어에 막연하게 흥미를 가진 터였다.

습관적으로 첫 페이지를 열어 책의 재미의 정도를 판단해보는 나이기에, 초반 몇 장을 읽던 도중 오히려 '작가의 글'에 끌려 읽게되었다. 그 내용은 '20년 전 나는 이러이러한 생활 속에 살고 있었고 그 때 쯤엔 타입라이터(typewriter)를 사용하여 이 책을 썼으며, 그 땐 손주손녀도 있지 않았고 Gulf War를 겪은지 몇 년 안되었다고 했다. 새삼 20년이란 단어를 보고 출판년도를 보았을 땐 2010년정도 였다. 약 2010년도로부터 20년전이란 말이다. (출판년도가 정확히 몇 년도였는지는 기억나지 않으니 참고하시라).

 

 

대략의 내용 소개 


작가의 글을 읽고 독서를 결정한 나는 책 뒤 실려있는 테일러 스위프트의 인터뷰 내용을 보고 알게되었다. 책의 배경은 모든 것이 같은 흑백의 세상에서 살고 있는 아이로부터 펼쳐진다는 것을 말이다. 실제로 모든 것이 흑백으로 보이고, 그 사회의 지혜자로 간주되는 The Elders라는 그룹에서 정해 주는 직업을 사람들은 업으로 삼으며 살아간다. 테일러 스위프트는 The Giver와 같은 세상에서 자신이 살았다면 가장 좋아하고 잘하는 '음악(소리)'를 듣지 못해서 답답했을 것 같다고 했다.

그럼에도, 이 책이 구현하는 세계는 모든 것에 안전한 답이 있는 사회이다. 주인공(Jonas)은 우리가 사회 통념적으로 생각하는 화목한 가정에서 자란다. 부모님 두 분과 여동생 그리고 남자아이인 본인이 매일 삥 둘러앉아 그 날 경험한 '감정'에 대해 이야기하고 나누며 서로 공감 및 그 감정을 인정해주는 대화를 나누고, 서로에게 적당한 예의와 선을 지키는 '~해서 고마워' '~해서 미안해'류의 인사를 항상 하는 그런 가정 말이다.

 

모든 아이들은 특정 나이가 되면 자신에게 맞는 직업도 부여받는다. 처음부터 답이 정해져있는 것도 아니고, 아이들은 몇 년간 자신이 원하고 관심있는 것을 봉사활동으로 자유롭게 경험하는데 그 때 'Elders(편의상 '지혜자'라고 하겠다)'는 면밀히 관찰하여 어떤 직업이 가장 잘 맞을지를 고민하고 논한다. 그 작업을 거쳐 특정 나이가 되면 아이들은 Elders가 고려한 바로 적성에 맞을 것 같은 직업을 '배정'받는다. 배우자도 신청하면 자신에게 맞는 배우자를 매칭받는다. 가정도 이룬다. 적당히 합리적인 것 같은 사회이다. 

그러나 주인공과 같은 사회의 극소수 1-2인은 세상이 '실제'로 보인다. 소리도 들리도 색깔도 보이고 말이다.

묘하게 '안전'을 위해 '선택'을 남이 해주는 사회에서 현재 살아가고 있다는 것을 알게된다.

 

 


가장 인상 깊었던 본문
Inspiring Text
p123-124



“...what if we could hold up things that were bright red, or bright yellow, and he could choose? Instead of the Sameness.”

“He might make wrong choices”

. . .

“Not safe?” The Giver suggested.

“Definitely not safe,” Jonas said with certainty. “What if they were allowed to choose their own mate? And chose wrong?”

“Or what if,” he went on, almost laughing at the absurdity, “they chose their own jobs?”

. . .

Jonas chuckled. “Very frightening I can’t even imagine it. We really have to protect people from wrong choices.”

“It’s safer.”

“Yes,” Jonas agreed. “Much safer.”

-출처 : p123-124. Lowry, Lois, author. The Giver. Boston :Houghton Mifflin Company, 1993.

-'선택지를 주면 어땠을까? 안전하지는 않았을꺼야. 왜 더 안전한지를 알겠네'라는 내용의 대화이다.

 

 

책(Giver)에서 얻은 것

 

1. 시사점 - '선택의 자유'에 대해

 

어렸을 적 30대이면 (30대 초도 마찬가지) 사회에서 자리를 잡은 때라고 생각했다. 앞으로도 탄탄대로이며 내가 정답을 이미 찾고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하는지 무얼 하고 살줄도 아는(알고 있는)때라고 생각했다. 그 때쯔음이면 알고 있을거라고 생각한 것이다.

그런데 나부터도 그러지 않았다. 아직도 고민하는 사람들도 많을 것이다. 상담 선생님 말씀으로는 아마도 나이불문 그러한 고민을 품은 채 그냥 살아가는 사람들이 많다고 하셨다.


한국에서는 요즘 많은 청년들이 자신의 적성에 맞는 직업을 고민한다. (2025년 기준 정부가 정한 청년의 나이는 만34세인듯 하다. 청년지원 사업들의 공고를 보면 말이다.) 
나 역시 직업적 적성에 대한 고민을 약 10년전부터 도돌이표처럼 해왔다. 반복적으로 고민해왔기에 눈덩이처럼 꽤 크게 생각하는 고민이다. 정답이 있는 사회였다면 좀 다르고 편하고 걱정이 없었을까? 나는 행복했을까? 어떠했을까? 누군가 내게 그냥 정답을 친절하게 가르쳐줬으면 좋겠다고 생각본 적도 자주 있다. 

다만, 자연을 좋아해서 다양한 색깔을 보고 소리와 음악을 듣는 즐거움이 내게는 크기에 그 다채로움을 박탈당한다고 생각해보니 (혹은 그것에 대한 선택의 자유가 아예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 그것은 싫다.

 

이 책은 그러한 '선택의 자유'에 대해 생각해보게끔 했다.

'안전'과 '안정적인 것'을 꽤나 가치있게 여기는 필자에겐 이 시사점이 신선하게 다가왔다.

 

다채로움과 자유 <-> 안전과 안정, 화목

 

어쨌든 우리가 현재 살아가고 있는 현실은 '자유'가 주어진 세계이니 어쩌면 그것을 감사해야 할 수도 있겠다. 주어진 것에 감사하고 그리고 현실을 받아들이고 내가 현재 할 수 있는 것을 실제로 행동하며 나아가야는 것이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이다.

 

중요한건 '원대한 답을 바로 찾는다'보다 '실행해보는 것' 같다. 하나씩 기간을 두고 실제로 행동하고 해보는 것이다.

'그렇게 주기적으로 하나씩 경험하면 나의 적성에 괜찮게 맞는 일 하나는 찾겠지. 그러다보면 만나게되겠지'

긍정적이고 희망적이게 어렸을 적(?.. 약 7-8년전) 새엄마가 말해줬었다. 잊고있었다.

 

혹자는 말하기도 한다. "무슨 원대한 정답? 그냥 사는데로 살면 돼." "다른 사람을 헤치지 않고, 법을 준수하는 선에서, 내가 하고 싶은데로 마음대로 하면서 그냥 살면 돼." 

 

요즘엔 삶의 방식도 다양하고 그것이 좀 더 괜찮은 사회이다. 

문제는 나이다. 내가 그것을 어떻게 줏대있고 소신있게 바라보는지. 

 

 2. 영어단어

 

감정과 행동을 수식하는 단어들과 재회하여 익숙해지고 새롭게 배운 단어들도 있다. 작문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겠다.

 

apprehensively [미래에 대해 불안한 (마치 안좋은 일이 일어나기라도 할 것처럼)]

irrationally [비논리적으로]

absurdity [ridiculousness, irrationality]  (ex) Lana thought the situation was absurd)

chuckled [(안으로) 웃음]

vibrance [생명력, the state of containing life, liveliness] (ex) I could feel the vibrance of life now)

3. (개인적) 현실 적용점 - 긍정 판단

 

책에서 터치하는 내 고민 중 현실에서의 해결점 또는 긍정적으로 결론내려 갖고갈 수 있는 것은 무엇일지 생각하고 써보았다.

 

문득 지난 독서와 글쓰기에서 배운 점이 기억났다. 바로 외부적 가치와 평가가 곧 내 가치라는 오류에서 자유로워지는 것 말이다. 내가 하는 많은 선택의 고민은 '그것이 사회에서 보기에 틀린 것일까봐'라는 외부 시선의 두려움에서 비롯되었다. 

 

내가 무엇을 하던 나의 가치는 달라지지 않는다. 사람은 존재만으로도 생명만으로도 무한히 가치있고 소중하다. 나의 존재의 중요성은 타인의 평가나 시선에 의하거나 달려있지 않다. 스스로와 대화를 하려 노력했다.

'맞아. 사회적(외부의) 평가로 인해 나의 가치가 달라지지는 않지'
'나의 가치는 그냥 존재한다는 것 자체에서 아주 중요하고 소중하고 가치있는 거였지'
'외부의 요구는 끊임없이 변화하고 바뀔 수 있는 거잖아'
'맞아. 그러면 외부의 시선과 외부의 평가에서 자유로워지자'
'나는 나로써 무한하게 소중하고 가치있고 중요하며, 중요한 것은 내가 현재 할 수 있는 것을 한다는 것이지'
'그리고 (선생님이) 100세 시대에는 30대는 마치 20대 같은거라고 했어'

'내가 현재 할 수 있는 것(action)에 집중해보자'
'맞아. 될 수도 있고 안 될 수도 있지. 정답을 찾을 수도 있고 (내게 적당히 괜찮은 안정적인 직업과 직종을 만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어. 그래도 나는 계속 도전할거야. 그래도 나는 끊임없이 도전하겠어, 될 때까지.'

'그게 내가 할 수 있는 일이자, 할 수 있는 것이니깐!' 
핵심은 실제로 일정 기간동안 어떤 것을 꾸준히 해보고 경험해보는 것이 내가 지금 할 수 있는 최선이라는 것이다. 

 


연예인 코쿤도 '내가 늦게 시작한건가? 라는 의문이 들었을 때가 있었냐'는 인터뷰 질문에 '저는 그냥 내가 더 늦게 죽으면 되지라고 생각했어요'라고 요*식탁에서 답했다. 요지는 각자의 타이밍과 타임라인이 다르다는 점이고, 그냥 '나'만을 기준으로 좀 더 늦게 이루면 되지라는 긍정적 관점과 태도로 나아가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외부에서 어떻게 나를 보고 판단하느냐가 아니라 내가 나를 어떻게 생각하느냐이다. 외부의 가치는 내가 통제할 수 있는게 아니니깐.

 

지혜롭게 내가 생각하고 어떻게 할 수 있는 나 그리고 그러한 나의 삶의 영역과 시간에 집중하자.

'맞아. 나 지금 내게 이롭고 지혜로운, 내게 이득인 생각과 감정을 선택하려고 연습하고 있어. 잘하고 있어.'

 

마음이 편안해졌다.

-
-

-

2025년 4-6월의 (책)읽고 글쓰기.

-

그렇게 나와 세상에 용기를.

SNS채널 책 리뷰 인스타그램 북스타 Nemo | 나를 살린 말들 : 3번 유형에게

불안과 용기 글과 그림 인스타그램 | Baebulli_

반응형

+ Recent posts